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28 lines (94 loc) · 8.95 KB

동기화.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28 lines (94 loc) · 8.95 KB

Synchronize(동기화)와 Deadlock

프로세스 동기화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동작하면서 공유메모리/자원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동기화 문제를 짚고 가야 한다, 공유된 자원에 여러 프로세스/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할 경우(경쟁 상태, race condition)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막기 위한 특별한 규칙을 프로세스(스레드) 동기화라 한다.

  • 경쟁 상태 : 여러 프로세스/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동신 접근 시 그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
  • 유저 모드 동기화 : 성능의 이점, 기능의 제한
    •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 : CS)
  • 커널 모드 동기화 : 기능의 이점, 속도의 제한
    • 뮤텍스 기반, 세마포어 기반

동기화 관련 문제 예시

  1. 독자, 저자 문제 : read는 동시 접속이 가능하나 write는 한 명만 가능
  • 계속해서 reader가 들어오면 writer는 무한히 대기해야함
  1.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 원형 테이블에 철학자가 앉아있고 양쪽의 젓가락을 모두 들어서 식사해야함
    1. 모든 철학자가 왼쪽 젓가락을 먼저 들고 이후 오른쪽 젓가락을 들려고 할 때 남아잇는 젓가락이 없기에 그 누구도 식사하지 못하고 무한히 대기해야 함(데드락 상태)

임계 구역

임계 구역을 여러 프로세스/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동시 접근했을 경우 하나의 프로세스/스레드만 접근 하도록 제한하는 코드 영역

  • 독자 , 저자 문제에서의 Critical Section : 책 - 공유 DB
  •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에서의 Critical Section : 젓가락
  • Critical Section 문제에서의 해결 조건
    • 상호 배제 : 누군가 임계 구역에 들어가면 다른 이는 접근 불가
    • 진행 : 임계 구역에 작업 종료 프로세스/스레드 적절히 선택
    • 유한 대기 : 기아상태 방지 위해 접근했을 경우 다음 진입시 제한
  • 소프트웨어 기반 동기화
    • 피터슨 알고리즘 / 데커 알고리즘 : 프로세스 2개일 때만 사용 가능, busy-wait 문제 발생 가능
    • 램포트의 빵집 알고리즘 : 프로세스 2개 이상일 경우에 사용가능
  • 하드웨어 기반 동기화
    • lock 이용 : 프로세스가 락을 획득해야 진입 가능, 임계구역 벗어나면 lock 반납
      • lock 기반 방식은 멀티 프로세서 환경에서 효율성으로 인해 인터럽트 차단이 곤란하여 성능 보장이 안된다.

세미포어

동기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로 동시에 접근 가능한 자원의 수를 관리한다. 커널에 저장된 변수 개념으로 두 가지 atomic 연산 P,V가 존재한다. P는 test를 의미, acquire() 기능이고 V는 increment , release() 기능이다.

  1. 프로세스가 임계영역 진입 시 P연산으로 세마포어의 값 감소
  2. 작업 수행 완료 후 임계영역 밖으로 나오면 V연산이 세마포어의 값 증가
  • Busy-Wait 방식 : 루프를 실행하여 접근 가능 체크
  • Block-WakeUp 방식 : 요청 시 일단 자원 카운트 감소, 자원이 0 이하라면 대기 큐 삽입, 작업이 완료되어 카운트 증가시키며 반납해도 변수가 0 이하라면 대기 프로세스가 존재함을 의미하게 pop left후 wakeup
  • 임계 영역이 길면 Block-WakeUp 방식, 짧은 Busy-Wait이 유리
  • 카운팅 세마포어 : 임계영역 안에 프로세스/스레드 진입 시 카운트 증가시켜 일정 숫자 유지
  • 이진 세마포어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마포어로 임계 영역 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들어가게 함. 뮤텍스라고도 한다.
    • 뮤텍스 : 영어를 읽기 편하게 줄인 말. locking 매커니즘으로 취득/반환의 개념이다.
  • 세마포어, 뮤텍스 차이점 : 뮤텍스는 동기화 대상이 1개, 세마포어는 1개 이상일 때 사용
  • 세마포어에서도 데드락 발생 가능

모니터

모니터 내에서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 동작, 뮤텍스의 상위호환 개념으로 프로그래머가 프로세스에 lock을 거는 등 동기화 제약 조건을 명시적으로 코딩할 필요가 없어 세마포어에 비해 간단함



데드락(Deadlock)

OS에서의 데드락(교착 상태)이란 시스템 자원에 대한 요구가 뒤엉킨 상태를 의미한다.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된 상태로 무한 대기에 빠진 상황이다.

데드락 발생 조건

  1. 상호 배제 : 한 번에 프로세스 하나만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다른 프로세스는 요청된 자원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

    • 철학자가 젓가락 1개를 들고 있으면 다른 이는 그 젓가락을 이용할 수 없음
  2. 점유 대기 :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기다릴 때 보유 자원을 놓지 않음

    • 철학자가 다른 한 쪽의 젓가락을 기다릴 때 들고 있는 젓가락을 놓지 않음
  3. 비선점 : 한 프로세스가 자료를 사용하는 중에는 커널이 빼앗아서 다른 프로세스에 배분할 수 없음

    1. 철학자가 집어든 젓가락은 다른 철학자가 뺏을 수 없음

  • 위 4 가지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드물게 발생한다.
    • 4가지가 성립해야만 비로소 교착상태의 발생확률이 존재
  • 컴퓨터 환경에 치명적이고 교착상태에 의한 오류 해결이 힘든 편이다.

데드락 예방

데드락의 발생 조건 4가지 중 하나라도 발생하지 않으면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각 조건을 부정하여 발생 가능성 차단

  1. 상호 배제 해결 : 공유 불가능한 상태를 해제하면 동기성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2. 점유 대기 해결 : 자원을 가진 상태에선 다른 자원을 기다리게 하지 않는 방법으로 여러 자원이 필요하다면 모든 자원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만 자원을 요청하여 일부만 얻은 경우 반납함. 자원의 활용률과 성능이 저하되고 starvation이 발생할 수 있음
  3. 비선점 해결 : 선점이 가능하다면 CPU의 경우는 문제가 없겠지만 프린트 등을 스위칭하면 곤란함. Save&Restore가 가능한 자원에서만 가능
  4. 순환 대기 해결 : 앞의 세 가지보다는 적용할 여지가 있다. 모든 자원에 번호를 매기고 오름차순으로 자원을 요청하는 등 한쪽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구한다. 이 역시 자원의 활용률 저하 문제가 있음
  • 4가지 조건을 하나를 부정하려 해도 비용이 발생하기에 데드락으로 인한 비용보다 시스템 저하 비용이 작은 군사, 의료 , 항공우주 등의 분야에서나 사용함이 좋음

> 데드락 회피 교착상태 회피는 데드락을 지원 요청에 대한 잘못된 승인에서 기인한다고 판단
  • 안정 상태 : 프로세스들이 요청하는 모든 자원을 데드락 없이 차례대로 모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상태

  • 안전 순서 : 자원 할당, 실행, 종료 시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는 순서

    • cycle이 없음을 의미한다
    • 단점 : 구현 시 할당 기능 &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와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의 수 등 사전 정보를 요구한다.
  • 안전한 할당을 하여 circular-wait을 회피해야 한다. 불완전한 할당은 데드락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 은행원 알고리즘 : 자원의 타입이 여러 개인 경우에 적용,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할 때 자원을 할당한 뒤 안정 상태로 남게 되는지 사전에 검사하여 교착상태 회피

    • 단점 : 할당하는 자원이 일정하고 최대 자원 요구량을 알아야 하며 항상 불안정 상태를 회피해야 하므로 자원 이용률이 낮다

데드락


데드락 검출 및 복구

  • OS가 주기적으로 교착상태가 발생했는 지 검사

  • 주기가 짧으면 오버헤드가 커짐, 길면 복구 가능성 낮아짐

  • 탐지 알고리즘

    • Signal Instance의 경우 자원할당 그래프 활용
    • Multiple instance의 경우 은행원 알고리즘 활용
  • 복구 기법

    • process termination : 한 번에 모든 프로세스 혹은 한 개씩 종료
      • 한 번에 데드락이 걸린 모든 프로세스 중단 : 연산 중이던 프로세스도 모두 일시 중단되어 중간 결과가 폐기됨
      • 하나씩 중단시키며 탐지 알고리즘으로 데드락 탐지/회복 : 오버헤드 문제
    • resource Preemption : 선점 비용이 최소인 victim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자원을 빼앗음

데드락의 무시

  • 교착상태 필요조건 4가지를 충족하더라도 데드락은 드문 현상임에 착안
  • 드물게 발생하는 데드락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은 비효율적이라 판다나여 데드락에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음.
  • 시스템에서 데드락이 발생한 경우 프로그래머가 직접 process를 죽이는 행위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