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8 lines (16 loc) · 1.57 KB

Part1. Classical Statistical Inferenc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8 lines (16 loc) · 1.57 KB

Part1. Classical Statistical Inference

Ch1. Algorithms and inference

  • 통계학의 큰 흐름은 베이지안 통게와 빈도주의적 통계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책에서는 이 방법 말고 통계학을 ‘알고리즘’적 측면과 ‘추론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려고 함
  • 알고리즘은 통계학자가 ‘무엇(what)‘을 하는지 설명한다면, 추론은 통계학자가 그것을 하는 ‘이유(why)’를 설명함
  • 알고리즘이 먼저 발전하고, 그 다음에 그 알고리즘을 추론(또는 해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짐. 알고리즘과 추론은 ‘tortoise-and-hare affair’ 같은 관계임
  • 지금까진 기존의 통계학에서 다루던 데이터 규모를 넘어서는 대규모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해졌고, 컴퓨터 기반의 통계적 알고리즘의 혁신이 이뤄짐.
  • 이 책에서는 그동안 그에 비해 중요하게 다뤄지지 못한 통계적 추론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중점적으로 다뤄보고자 함
  • 이번 챕터에서는 컴퓨터 시대로 변함에 따라 전통적 방식의 통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고자 함

1.1 A Regression Example

  • 주어진 데이터 특징
    • 신장(kidney) 관련 데이터 샘플 157개
    • 당시 60세 이상에게서 샘플을 기부받는 것은 불법이었기 때문에 60세 이후 샘플 수 부족
  • 직선의 회기식을 통한 추론
    • “tot”와 “age”를 각각 x축과 y축에 놓고 직선의 선형회귀선을 그려봄
    •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