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v8/content/cli/overview.md: overview, v8/content/first-steps.md 전체 번역 (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yuta-97 authored Feb 13, 2022
1 parent ea521c2 commit 5eab4ef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2 changed files with 45 additions and 44 deletions.
46 changes: 23 additions & 23 deletions content/cli/overview.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48 +1,48 @@
### Overview
### 시작하기

The [Nest CLI](https://github.com/nestjs/nest-cli) is a command-line interface tool that helps you to initialize, develop, and maintain your Nest applications. It assists in multiple ways, including scaffolding the project, serving it in development mode, and building and bundling the application for production distribution. It embodies best-practice architectural patterns to encourage well-structured apps.
[Nest CLI](https://github.com/nestjs/nest-cli) 는 Nest application 초기화, 개발 및 유지보수 하는데 도움이 되는 명령줄-인터페이스 도구입니다. 프로젝트 스케폴딩, 개발모드 제공, 빌드 및 번들링 도구 등 다양한 방법을 지원 합니다. 이 도구는 잘 구성된 아키텍쳐 패턴들을 구현하여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이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 Installation
#### 설치

**Note**: In this guide we describe using [npm](https://docs.npmjs.com/downloading-and-installing-node-js-and-npm) to install packages, including the Nest CLI. Other package managers may be used at your discretion. With npm, you have several options available for managing how your OS command line resolves the location of the `nest` CLI binary file. Here, we describe installing the `nest` binary globally using the `-g` option. This provides a measure of convenience, and is the approach we assume throughout the documentation. Note that installing **any** `npm` package globally leaves the responsibility of ensuring they're running the correct version up to the user. It also means that if you have different projects, each will run the **same** version of the CLI. A reasonable alternative is to use the [npx](https://github.com/npm/npx) program (or similar features with other package managers) to ensure that you run a **managed version** of the Nest CLI. We recommend you consult the [npx documentation](https://github.com/npm/npx) and/or your DevOps support staff for more information.
**참고**: 이 가이드에서는 [npm](https://docs.npmjs.com/downloading-and-installing-node-js-and-npm) 을 사용하여 Nest CLI를 포함한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선호하는 다른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npm 을 사용하면 OS 명령줄에서 `nest` CLI 바이너리 파일의 위치를 찾는 데 몇 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g`옵션을 사용하여 `nest` 바이너리를 전역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는 어느정도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해당 설치 방법을 전제로 문서를 작성 하였습니다. **어떠한** `npm` 패키지를 전역으로 설치하면 올바른 버전이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또한 다른 프로젝트 이더라도 **같은** 버전의 CLI 를 실행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합리적인 대안은 [npx](https://github.com/npm/npx) 프로그램(또는 다른 패키지 매니저와 유사한 기능)을 사용하여 Nest CLI의 **managed version**을(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npx 설명서](https://github.com/npm/npx) 및/또는 DevOps 지원 담당자에게 문의하세요.

Install the CLI globally using the `npm install -g` command (see the **Note** above for details about global installs).
`npm install -g` 명령을 사용하여 CLI를 전역으로 설치합니다. (전역 설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의 **참고** 항목을 참조하세요).

```bash
$ npm install -g @nestjs/cli
```

#### Basic workflow
#### 기본 흐름

Once installed, you can invoke CLI commands directly from your OS command line through the `nest` executable. See the available `nest` commands by entering the following:
설치되면 `nest` 실행 파일을 통해 OS 명령줄에서 직접 CLI 명령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nest` 명령을 확인해 보세요

```bash
$ nest --help
```

Get help on an individual command using the following construct. Substitute any command, like `new`, `add`, etc., where you see `generate` in the example below to get detailed help on that command: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new`, `add`등과 같은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도움말을 보려면 아래의 예에서 `generate` 자리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bash
$ nest generate --help
```

To create, build and run a new basic Nest project in development mode, go to the folder that should be the parent of your new project, and run the following commands:
개발 모드에서 새로운 Nest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빌드, 실행 시키려면 프로젝트의 상위 폴더로 이동한 후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bash
$ nest new my-nest-project
$ cd my-nest-project
$ npm run start:dev
```

In your browser, open [http://localhost:3000](http://localhost:3000) to see the new application running. The app will automatically recompile and reload when you change any of the source files.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http://localhost:3000)을 열어 실행 중인 애플리케션을 확인합니다. 소스 파일을 변경하면 앱이 자동으로 다시 컴파일하고 로드합니다.

#### Project structure
#### 프로젝트 구조

When you run `nest new`, Nest generates a boilerplate application structure by creating a new folder and populating an initial set of files. You can continue working in this default structure, adding new components, as described throughout this documentation. We refer to the project structure generated by `nest new` as **standard mode**. Nest also supports an alternate structure for managing multiple projects and libraries called **monorepo mode**.
`nest new` 를 실행하면 Nest는 새 폴더를 만들고 초기 설정파일들을 만들어 boilerplate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생성합니다. 이 문서의 설명에 따라 기본 구조에서 새 컴포넌트를 추가하면서 작업을 이어나가면 됩니다. 우리는 `nest new` 로 생성한 프로젝트의 구조를 **standard mode** 라고 부릅니다. 또한 Nest는 **monorepo mode** 라고 하는 여러 프로젝트 및 라이브러리를 관리하기위한 대체 구조를 지원합니다.

Aside from a few specific considerations around how the **build** process works (essentially, monorepo mode simplifies build complexities that can sometimes arise from monorepo-style project structures), and built-in [library](/cli/libraries) support, the rest of the Nest features, and this documentation, apply equally to both standard and monorepo mode project structures. In fact, you can easily switch from standard mode to monorepo mode at any time in the future, so you can safely defer this decision while you're still learning about Nest.
**build** 프로세스가 작동하는 방식과 내장 [라이브러리](/cli/library) 지원에 대한 몇 가지 구체적인 고려 사항 외에도(기본적으로 monorepo mode 는 monorepo-style의 프로젝트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빌드 복잡성을 단순화합니다), 나머지 Nest 기능 과 이 문서는 standard mode 및 monorepo mode 프로젝트 구조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나중에 언제든지 standard mode에서 monorepo mode로 쉽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Nest에 대해 배우는 동안 이 결정을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You can use either mode to manage multiple projects. Here's a quick summary of the differences:
두 모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여러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 모드의 차이점을 간단히 요약한 것입니다.

| Feature | Standard Mode | Monorepo Mode |
| ----------------------------------------------------- | ------------------------------------------------------------------ | ---------------------------------------------------------- |
Expand All @@ -54,37 +54,37 @@ You can use either mode to manage multiple projects. Here's a quick summary of t
| `nest build` and `nest start` commands | Target defaults automatically to the (only) project in the context | Target defaults to the **default project** in the monorepo |
| Libraries | Managed manually, usually via npm packaging | Built-in support, including path management and bundling |

Read the sections on [Workspaces](/cli/monorepo) and [Libraries](/cli/libraries)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to help you decide which mode is most suitable for you.
가장 적합한 모드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세한 내용은 [Workspaces](/cli/monorepo) [Libraries](/cli/libraries) 섹션을 참조하세요.

<app-banner-courses></app-banner-courses>

#### CLI command syntax
#### CLI 명령어 문법

All `nest` commands follow the same format:
모든 `nest` 명령어들은 동일한 형식을 따릅니다

```bash
nest commandOrAlias requiredArg [optionalArg] [options]
```

For example:
예시:

```bash
$ nest new my-nest-project --dry-run
```

Here, `new` is the _commandOrAlias_. The `new` command has an alias of `n`. `my-nest-project` is the _requiredArg_. If a _requiredArg_ is not supplied on the command line, `nest` will prompt for it. Also, `--dry-run` has an equivalent short-hand form `-d`. With this in mind, the following command is the equivalent of the above:
여기서 `new` _commandOrAlias_ 입니다.`new` 의 별칭은 `n` 입니다. `my-nest-project` _requiredArg_ 입니다. _requiredArg_ 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nest` 에서 이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또한, `--dry-run` 의 약식 표현은 `-d` 입니다. 이 점을 참고하면, 다음 명령은 위의 명령과 동일합니다.

```bash
$ nest n my-nest-project -d
```

Most commands, and some options, have aliases. Try running `nest new --help` to see these options and aliases, and to confirm your understanding of the above constructs.
대부분의 명령과 일부 옵션에는 별칭이 있습니다. `nest new --help` 를 실행하여 이러한 옵션과 별칭들을 보고 위의 구조에 대해 이해했는지 확인하세요.

#### Command overview
#### 명령어 정리

Run `nest <command> --help` for any of the following commands to see command-specific options.
명령별 옵션을 보려면 다음 명령어들 중 하나에 대해 `nest <command> --help` 를 실행하세요.

See [usage](/cli/usages) for detailed descriptions for each command.
각 명령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usage](/cli/uses)를 참조하세요.

| Command | Alias | Description |
| ---------- | ----- | ----------------------------------------------------------------------------------------------------- |
Expand Down
Loading

0 comments on commit 5eab4ef

Please sign in to comment.